임상시험정보

업계 뉴스

의료기기 규제과학 전문가 양성 체계 개편 나선다

작성자 (주)헬프트라이알 날짜 2025-08-29 13:42:53 조회수 7

출처=게티이미지뱅크

출처=게티이미지뱅크

 

정부가 의료기기 규제과학 전문인력 양성 체계를 고도화한다. 의료기기 산업이 성장하면서 인허가 업무 중요성 역시 커졌기 때문이다. 산업 현장에 필요한 교육 프로그램 운영부터 자격 제도까지 전반적으로 개선 방안을 찾는다.



한국의료기기안전정보원은 최근 의료기기 규제과학(RA) 교육·자격제도 중장기 발전방안 연구에 착수했다. 올해 말까지 국내외 의료기기 분야 산업·인력 현황과 제도 등을 분석하고, 직무별 요구 역량에 맞는 교육사업을 발굴한다. 국내 RA 자격제도도 살펴보고 새로운 운영 전략을 설정한다.



의료기기 규제과학 전문가는 의료기기 개발부터 제품화, 시판 후 관리 등에 필요한 규제기준 관련 지식을 갖춘 자를 말한다. 허가·심사 자료작성 등 기업 인허가, 생산·품질관리 관련 업무 총괄, 규제 당국과의 의사소통 창구 역할을 맡는다.



의료기기안전정보원은 RA 관련 인력 수요가 2022년 2만8364명에서 올해 3만6954명으로 3년 새 약 30% 증가할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의료기기 산업은 바이오, 사물인터넷(IoT)등 융복합 기술이 요구되는 만큼 양질의 청년 일자리를 창출할 것으로 기대받고 있다.



이에 정보원은 2018년부터 고용노동부 일자리 사업 지원을 받아 의료기기 RA 전문가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단기와 중기 과정으로 나뉘는데, 교육을 수료해야 의료기기 RA 전문가 2급 국가공인 자격시험 응시자격이 부여된다.



다만 산업 현장에서는 RA 전문가 공급이 수요를 따라가지 못한다는 목소리가 지속 제기됐다. 이에 정보원은 의료기기 RA 교육과 자격제도 운영 실태를 종합 분석하고, 인력 양성 체계의 중장기 발전방향과 단계별 이행 전략을 수립한다.

 

https://www.etnews.com/20250828000298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작성 권한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