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보험심사평가원(심평원)이 디지털치료기기(DTx)의 건강보험 정식 등재를 위한 급여 적정성 평가 기준 마련에 착수했다.
그간 임시 등재 제도를 통해 첨단 디지털 의료기술의 빠른 도입을 지원해왔으나, 급여 등재 가격이 지나치게 낮아 기업들이 활용을 꺼리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또 급여 등재를 위한 명확한 기준 및 절차의 부족, 임상적 유용성 및 경제성 평가의 어려움, 기술 발전 속도와 규제의 불일치 등이 문제로 지적되어 왔다.
최근 심평원은 국내 보상체계 개선 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디지털치료기기의 급여 적정성 평가기준 및 정식 등재방안 위탁연구'를 진행한다고 밝혔다. 이 연구는 2025년 4월부터 6개월간 진행되며, 7000만원의 예산이 투입될 예정이다.
디지털치료기기는 소프트웨어 기반으로 질환 치료를 지원하는 의료기기로 정신건강, 신경질환, 만성질환 관리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 건강보험 체계에서는 전통적인 의료기기와 다른 특성을 고려한 평가 기준이 부족해 급여 적용이 어려운 상황이다.
이에 심평원은 임시등재제도를 통해 혁신의료기술을 의료 현장에서 일정 기간 활용하며 근거를 축적하는 방안을 운영 중이다.
디지털치료기기의 건강보험 적용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원칙도 마련된다. 연구에서는 의료적 중요성, 대체 가능성 등을 고려해 급여·비급여 여부를 결정하는 기준을 수립하고, 건강보험 재정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해 합리적인 보상 방안을 도출할 예정이다.
디지털치료기기의 급여화 과정이 개선되면 환자의 치료 접근성이 크게 향상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국내 디지털 헬스케어 산업의 성장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https://www.dailymedi.com/news/news_view.php?ca_id=22&wr_id=922258